섬세한 직물의 스팟팅 > 의류,섬유정보

본문 바로가기

의류,섬유정보

섬세한 직물의 스팟팅

화인티앤씨

25-01-15

44회

본문

섬세한 직물(delicate fabric) 이란  스팟팅에  사용하는 미케니컬 액션 또는 약품에 의해 약해지거나 변색할 수 있는 직물을 말한다.
이런 경우 직물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주의가 필요하다.

1. 실크
실크는 약한 원사 그리고 일부 약품 에 민감한 염색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.

▲ 미케니컬 액션 - 실크를 스팟팅할 때에는 패드 달 린 실크 브러쉬 또는 타월이나 치즈 클로쓰로 감싼 솔 브 러쉬를 사용해야 한다.
가장 안전한 미케니컬 액션은 솔 질이 아니라 두드리기이다. 두드릴 때에는 직물을 평평하 게 펴놓아야 손상을 막을 수 있다.
만일 솔 브러쉬를 사용 한다면 솔 끝이 아니라 옆면을 이용한다.

▲ 단백질 얼룩 - 실크는 알칼리, 암모니아 그리고 알칼리 성분의 단백질 포뮬러에 민감하다.
단백질 제거에 가장 안전한 약품은 분말 효소(powdered enzyme)이다.
이를 이용하면 미케니컬 액션이 필요없고, 물만큼 안 전하다. 액상 효소도 안전도가 높지만, 분말 효소만큼 안전하지는 않다.

▲ 태닌 얼룩 - 태닌 포뮬러와 약산은 비교적 실크에 안전하다. 옥살산(oxalic acid)처럼 강산은 먼저 테스트해야 한다.
알코올이 포함된 제너럴 포뮬러는 절대로 사용하면 안 된다.

▲ 드라이사이드 얼룩 - 강한 페인트 제거제는 반드시 피해야 한다. 페인트 제거제는 색이 진할수록 힘이 강하다.
페인트 제거제는 절대로 물과 함께 사용하면 안 된다.
물과 접촉하면 알코올이 방출되면서 변색이 일어날 수 있다.
페인트 제거제를 사용했으면 즉각적으로 드라이클리닝을 해야 한다.
대기 중 습기 때문에 페인트 제거제의 알코올 성분이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.
아밀 아세테이트는 페인트 씨너가 든 것 말고는 모든 실 크에 안전하다.

2. 울
울은 대개 튼튼하지만 실크와 유사한 약품 민감성을 갖고 있다. 울은 하지만 실크 보다 미케니컬 액션을 더 잘 견딜 수 있다.
울은 또한 드라이사이드 페인트 제거제에 도 더 강하다. 페인트 제거제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물을 피해야 한다.

3. 아세테이트
아세테이트 직물은 알코올 성분의 제너럴 포뮬러로 스팟팅을 하면 안 된다.
실크와 마찬가지로 색이 연한, 더 약한 페인트 제거제를 사용해야 한다.
페인트 제거제로 스팟팅을 했으면 즉각 드라이클리닝을 해 대기 중 수분이 페인트 제거제의 알코올을 활성화하지 못하게 한다.
태닌 포뮬러와 단백질 포뮬러는 일반적으로 아세테이트에 안전하다. 아세테이트는 묽게 만들었다고 해도 아세트 산에 민감하다.

4. 데님
데님은 미케니컬 액션에 의한 마모성 퇴색(crocking) 과 탈색 위험이 있다.
그렇다면 잉크와 드라이사이드 얼룩, 그리고 페인트 얼룩을 제거하려면 약간의 탈색을 감수 해야 한다.
미케니컬 액션은 솔질 보다 두드리는 것이 더 안전하다. 그리고 가능하다면 직물 안쪽에서 스팟팅을 하는게 안전하다.

5. 새틴 직조
새틴 직조는 떠다니는 실이 있어 직조 중 가장 약하다. 새틴은 항상 직물 등 쪽에서 스팟팅을 해야 마찰성 퇴색(chafing)을 막을 수 있다.
안전하게 스팟팅 작업을 하 려면 반드시 실크 브러쉬를 사용한다.

6. 파유(faille, 물결무늬 실크)와 골진 직물
골이 진 직물을 스팟팅할 때는 골을 따라가기보다 가 로지르게 솔질해야 한다. 골을 따라 솔질을 하면 섬세한 가로 실이 변형될 수 있다.

7. 벨벳
아세테이트, 실크 그리고 레이욘 벨벳을 스팟팅할 때 물을 사용하면 표면 솜털의 변형이 생길 수 있다.
이렇게 변형이 발생하면 대개 시정이 불가능하다.
면 그리고 폴리 에스터 벨벳은 스팟팅할 수 있지만, 솜털 방향대로 부드럽 게 솔질해야 한다.
솜털 결을 찾으려면 표면을 손으로 쓸어 보아 어느 방향이 더 매끄럽게 느껴지는지 보면 된다.

8. 안전한 표백 작업
색이 있는 직물에서는 어떤 표백제라도 손상을 일으 킬 수 있다. 흰색 직물이라도 표백제 안전도에 차이가 있다.

▲ 울과 실크
울과 실크를 표백하고 하얗게 만들 때는 소디움 바이 설페이트(sodium bisulphate)와 소디움 하이드로설페이 트(sodium hydrosulphate)가 가장 안전한 약품이다.
소디움 하이포클로라이트(sodium hypochlorite, 클로락스) 는 절대로 사용하면 안 된다.
과산화수소수가 국부적 스팟팅에는 가장 안전한 약품이다.

▲ 면과 린넨
소디움 퍼보레이트(sodium perborate)와 소디움 퍼카보네이트(sodium percarbonate)가 표백조에 가장 안전하다.
소디움 하이포클로라이트는 1% 농도로 희석하면 안전하다.
안전한 작업을 하려면 농도를 꼭 1%로 만들어야 한다.
국부 표백 작업을 하려면 1% 농도를 더 많이 희 석해야 한다.
또한, 표백 후 린스를 했으면 표백제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산을 사용한다.
TOP
  • 인스타그램
  • 블로그
  • 유튜브
대표이사 : 이현용 사업자등록번호 : 237-87-02222 주소 : 세종시 연동면 명학산단로 127
사업자등록번호 : 237-87-02222 전화 : 044-866-2611 팩스 : 070-8807-9206 E-MAIL : finetnc@naver.com
ⓒ2024 화인TNC. ALL RIGHTS RESERVED.